오늘이 드디어 3주간 수업 과정의 마지막 날이다. 그동안 했던 일을 다 마무리하는 날.
이전에 색칠을 해놓은 Sack back은 오일을 올리는 걸로 마무리하고, Fan back과 Continuous Arm은 상부를 조립하고 본딩하고 샌딩 등의 정리를 한 다음 1차 페인팅까지 하면서 지금까지의 모든 과정을 다 끝냈다. 그리고 감사하게도 빈센트 부모님 집에서 다시 한번 저녁 식사를 초대해주셔서 같이 식사를 할 수 있어서 너무 좋았었다. 평화로운 일상의 가족 모습이 참 좋았었다.
아침에 Continuous Arm의 손잡이 부분을 다듬는 작업부터 시작했다. 이전에 골라놓은 바이올린 스타일의 손잡이를 만드는데, 줄을 사용하거나 spokeshave들을 적절히 써가면서 만들었는데, 빈센트는 작업하기 편한 걸 쓰라고 하지만 나는 되도록 spokeshave 등의 공구를 쓰고 싶어서 해봤다. 하지만 줄이 없이는 안되겠더라. 여러 번 느끼는 거지만 윈저체어를 만드는 과정에 반드시 특정 공구를 써서 어떻게 해야만 하는 과정이라는 건 별로 없다.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으면 되고 자기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걸 하면 되는거지 대패를 써서 하면 잘 한거고, 줄을 쓰면 기술이 부족한 거고 그런 건 없는 것 같다. 일종의 고정관념에서 좀 벗어나서 자유롭게 시도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졌을 때 좋으면 되는 거니까.
어쨌든 모양을 만들고 손잡이 밑부분을 spokeshave와 줄을 써서 둥글게 모양을 다듬고 손질을 했다. 손으로 잡았을 때 편하고 자기가 원하는 정도로 만들면 된다. 모건도 같이 만들었는데 나하고는 모양이 좀 다르다.
한참 만들고 있는데 Sack back에 오일을 입히는 작업을 한단다. Minwax의 antique oil finish 오일을 사용했다. 내가 직접 하지는 않고 빈센트와 리바이가 해줬는데, 하는 방법을 알려주긴 했다. 티셔츠 같은 면 종류의 천을 준비해서 사방을 잘 접어서 공 모야을 만든다. 그래서 접히지 않은 평평한 면에 오일을 바르고 전체적으로 문질러준다는 것이다. 그렇게 설명만 듣고 실제로 하는 건 보지 못했다. 나중에 물어보던지 따로 알아봐야 할 것 같다. 흔한 거니까 어려울 건 없겠지. 근데 저 앤틱 오일을 한국에서 살 수 있을까.
오일을 바르기 전에 별도의 샌딩은 안한다고 하고, 오일도 2번 바른다고 하는데 처음 바르면 밀크페인트가 오일을 금방 흡수한다고 한다. 어느 정도 마르면 다시 한번 바르겠지만 그건 나중에 빈센트가 해서 보내주겠지.
손잡이를 다 만들고 나서는 Fan back의 side post 구멍을 뚫는 작업을 했다. 방식은 이전과 동일하고 앞뒤, 좌우 각도가 아마 75도였던 것 같다. 나중에 template을 확인해보면 알겠지. 그렇게 side post를 가조립하고 그 위에 comb를 클램핑해봤다. 모양을 확인하면서 comb의 적당한 위치를 잡고 side post의 높이를 표시하고 그 위에 1/2″ 만큼 올라간 위치에 또 표시를 한다. 1/2″ 만큼 side post가 comb에 삽입될 거라서 그 높이를 표시하고 나머지는 잘라내기 위함이다. 그리고 comb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좌우 side post가 들어갈 위치를 정확히 표시하는데, 양쪽 끝에 같은 길이가 남도록 해야 한다. 좌우 대칭이 중요하니까. 그리고 side post 간의 거리를 재서 8등분하는데 7개 spindle이 들어갈 위치를 표시하기 위함이다. 줄자를 써서 간격을 재서 8로 나눈다. 그리고 각도기로 해당 길이를 설정해서 실제로 잘 맞는지 표시해본다. 잘 맞도록 간격을 조절한다음, 그에 맞춰 comb에 위치를 표시하고 comb 길이방향으로 중간선을 그린다. 그리고 교차점에 송곳으로 comb에 spindle이 들어갈 위치를 잡아놓는다.
여기까지 하면 comb에 side post와 spindle의 구멍을 뚫을 준비가 끝난다. 그리고나서 빈센트는 comb를 고정 지그에 물려놓고 드릴프레스로 구멍을 뚫었다. 정확하고 빨리 할 수 있다는데, 덜덜거리는게 뭐 썩,, ㅎㅎ 여튼 튼 기계 없이 혼자 할 수 있는 방법을 물어보니까 comb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고 그 위에 3/8″ 구멍이 뚫린 드릴용 지그를 만들어서 얹고 그 구멍을 가이드 삼아 구멍을 만들면 된다고 한다. 이건 전에 다른 데서 하는 건 본적이 있어서 어떻게 하는지 알겠다. 그게 더 쉬워보이던 걸 왜 굳이 드릴프레스를 썻는지,, 뭐 공구를 좋아하는 빈센트니까 뭐든 써보겠지.
나는 샌딩이 끝난 Modified Shield seat에 gutter line을 9/3mm gouge로 gutter line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서 더 깊게 팠다. 좁고 깊으면 좋겠는데 U자 형태가 아니라 V자 모양의 gouge를 쓰면 어떨까 싶기도 하다. 그 다음은 Fan back을 위한 spindle을 골라서 보기 좋은대로 잘 배치해본다. 그리고 각 spindle에 넘버링을 하고 seat와 연결선을 그려서 spindle의 방향을 표시해둔다.
그리고 가운데 spindle을 위한 구멍을 seat에 뚫는데, 5/8″ 긴 스페이드 비트를 이용해서 comb에 표시한 기준선과 seat의 구멍 위치를 연결하는 각도에 맞춰 만든다. 쉽다. 그리고 가운데 spindle도 1/2″ 깊이만큼 남겨놓고 잘라서 가조립을 해본다. 그리고 seat에 나머지 spindle 구멍을 뚫고 spindle들도 잘라서 가조립을 해본다.
그 다음 좌우 side post에서 seat부터 comb까지 길이를 재면서 좌우 균형을 맞춘다. Spindle 중에서 길이가 더 긴 녀석이 있을 수도 있고 comb에 구멍이 좀 얕은 곳도 있을 수 있으니 좌우로 확인하면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찾아서 수정하면서 comb의 균형을 맞추고 동시에 모든 spindle과 side post가 잘 꽂혀있게 만들어야 한다. 내 의자로 왼쪽 부분이 좀 높아서 side post도 위쪽을 살짝 자르고 2~3개의 spindle도 위쪽을 조금 잘라내서 길이 조절이 필요했다.
가조립도 하고 균형도 잡아놨으니 먼저 side post부터 본딩을 하고 wedge를 바로 박는다. 메이플로 만든 wedge를 여전히 쓰는데, 요령은 이전과 같다. Wedge가 seat에 박힐 만큼만 하면 된다. 본딩을 할 때는 본드가 흐르고나 떨어질 수 있으니까 stretcher에 테이프를 붙여놓고 한다. 그리고 seat의 spindle 구멍에 본드를 흘려넣고 붓으로 칠한 다음 spindle 조립을 한다. Spindle을 본딩할 때는 Seat 구멍에 꽂고 spidle을 1바퀴 정도 돌리면서 본드가 곳곳에 잘 묻도록 해준다고 한다.
다음으로 Comb의 spindle 구멍에도 본드를 조금식 흘려넣는다. Spindle 끝 부분에도 본드를 붓으로 발라주고 본딩으로 조립을 마친다. 그 다음 마지막 단계로 pin을 박아넣는데, pin의 역할은 spindle이 돌아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pin은 가운데를 기준으로 spindle 좌우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구멍에 박아넣는데, 구멍의 위치는 spindle이 comb에 박힌 경계선 정도의 위치에 하면 된다. 구멍을 내면 공기가 들어가면서 comb의 spindle 구멍에 공기가 들어가면서 안쪽의 본드가 새어나오기도 한다. 여튼 그렇게 구멍을 만드는데 구멍은 3mm 짜라 얇은 나무가 들어갈 정도면 된다. 여기서 pin은 시판하는 재료를 사면 되는데 3mm 두께면 된다. Pin을 박을 때는 comb두께보다 길게 잘라서 박아넣고 남는 부분 톱으로 잘라내고 나머지는 샌딩으로 마무리한다.
여기까지 하면 Fan back은 완성이다. 본드가 마르면 wedge들을 잘라내고 샌딩한 다음 의자를 전체적으로 살피면서 본드가 묻거나 지저분해보이는 부분을 수정하고 전체적으로 샌딩을 다 해준다. 그러면 페인팅을 위한 준비가 끝난 거다. 한 시간 정도 지나서 삐져나온 본드 등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정리하고 샌딩을 했다. 그리고 밀크페인트를 칠해주면 1차 페인팅 끝. Merigold 50% White로 색칠했다.
이번엔 오늘 만든 또 다른 의자, Continuous Arm의 작업 과정이다.
먼저 어제까지 하부 조립까지 마무리한 seat에 arm post를 위한 구멍을 뚫었다. 마찬가지로 Laser Level을 이용해서 패턴의 각도에 맞춰 드릴과 5/8″ 스페이드 비트로 구멍을 낸다. 그리고 Tapered reamer로 구멍을 확장했다. 그런데 reamer로 확장을 하다보니 한쪽의 깊이가 더 깊게 되었다. 게다가 사용한 arm post는 bamboo 스타일인데, 첫번째 볼록한 부분까지 들어가도록 구멍을 확장해야 하는데 reamer로 확장하면서 좀 흔들리다보니 구멍도 arm post에 비해 커졌다. 그래서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물어보니까 에폭시로 메꾸면 된다고 걱정하지 말라고 하더라. 이 사람들은 그런 부분에서 꼭 전통적인 방법만 고집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Arm post를 seat에 꽂고 바로 본딩을 하고 wedge를 박았다. Arm post의 wedge를 박을 때 반드시 seat의 나무결에 직각이 되게 박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seat가 나무결을 따라 크랙이 날 수도 있다. 그 다음에는 본드가 마를 때까지 30분 이상 기다리면서 Fan back 작업을 한 것 같다.
한참 Fan back을 작업하다가 본드가 마를 때쯤 다시 돌아와서 arm post를 seat에 꽂아놓고 C arm을 얹고 좌우 균형을 확인해본다. 그리고 C arm에 arm post를 위한 구멍 위치를 잡는데, 이번에 손잡이로 쓴 디자인은 바이올린이라 중간의 뽀족한 위치를 기준으로 삼아서 선을 긋고, C arm을 따라서 선을 그어서 arm post 위치를 잡는데, arm post가 C arm에 비스듬히 들어가기 때문에 C arm의 가운데서 바깥쪽으로 치우쳐서 기준을 잡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arm post의 구멍이 C arm의 옆면을 뚫고 나갈 수가 있다. 그리고 빈센트의 방식은 C arm의 손잡이를 집성해서 나중에 붙여 만드는데, C arm은 red oak, 손잡이는 포플라를 썼다. 나무의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포플라에는 구멍이 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다보니 C arm에 arm post의 구멍 위치를 잘 잡아야 한다. 그렇게 구멍의 위치를 잡으면 arm post의 각도에 맞춰 드릴의 각도를 잡고 3/8″ 스페이드 비트로 구멍을 낸다. 그리고 tapered reamer로 구멍을 확장시키는데, 각도를 잘 맞추고 C arm의 옆면으로 구멍이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리바이가 좀 도와줬는데, 나중에 혼자서 잘 할 수 있으려나. 한쪽 arm post가 C arm에 잘 들어가지 않아서 arm post의 tapered tennon 부분을 살짝 줄로 갈아내고 끼웠다. 그렇게 side post와 C arm을 조립한 다음 side post의 seat 구멍 주변의 갭에 에폭시를 넣어주었다. 굳으면 아주 튼튼해지긴 하는데, 애초에 그럴 일이 없었으면 좋았겠지만, 페인트를 칠하고나면 구분이 안되긴 한다. 에폭시는 1회용 주사기에 넣고 틈새에 짜넣었다. 참 별게 다 필요하다.
그리고 가운데 spindle의 구멍을 seat에 뚫는데, 드릴과 5/8″ 스페이드 비트를 이용해서 C arm의 중심선과 seat의 구멍 위치를 연결하는 각도로 구멍을 내면 된다. 구멍 깊이는 1″. 그 다음 Spindle 가운데 가장 괜찮은 것을 골라서 가운데 spindle을 꽂아넣고 일단 의자에 앉아서 어느 정도가 편안한 각도가 되는지 체크해보고 spindle에 해당 높이를 표시한다. 이 높이는 C arm의 높이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는데, 반드시 지켜야 한다기 보단 나중에 다시 보정하면서 체크하게 되니까 정확하게 잡으려 노력을 할 필요는 없다.
그 다음 spindle들을 좌우에 배치하는데 눈으로 봤을 때 가장 괜찮아보이는 spindle로 골라서 원하는 순서대로 배치한다. Spindle의 길이에 따라서 짧은 것들은 가장자리로 보내야 한다. 그리고 가운데 spindle을 기준으로 좌우 spindle의 구멍 위치를 C arm에 표시한다. 각도기를 이용하는데, 기준 각도는 다른 의자에서 따오는 것 같다. 아니면 적당히 나눠가며 좋은 각도를 찾아도 되고. 그렇게 모든 spindle의 위치를 표시하고나면 C arm의 중심을 따라 기준선을 긋고 간격을 표시한 선들과의 교차점에 송곳으로 spindle의 위치를 잡아놓고 spindle과 seat에 각각 순서를 알 수 있게 번호나 기호를 마킹한다.
C arm에 spindle 구멍을 낼 준비가 끝나면 C arm에 가운데 spindle을 위한 구멍을 내는데, seat의 구멍에 spindle을 꽂아놓고 그 각도에 맞춰 3/8″ 스페이드 비트를 이용해서 구멍을 낸다.
이제 C arm의 spindle 위치와 seat의 spindle 구멍 위치를 연결하는 각도로 seat에 spindle 구멍을 모두 만든다. 5/8″ 스페이드 비트로 드릴을 이용해서 구멍을 만든다. 이어서 C arm에 spindle 구멍을 내는데, 3/8″ 스페이드 비트를 이용해서 작업한다. Seat에 spindle들을 꽂아놓고 spindle의 각도를 봐가면서 그에 맞춰 C arm에 spindle 구멍을 가운데 spindle 기준으로 좌우로 하나씩 번갈아서 낸다. 이 때 C arm이 흔들리지 않도록 가운데 spindle과 C arm을 잘 고정해야 한다. 손으로 잡고 있든지, 클랭핑을 해도 되는 것 같다. 좌우로 구멍을 낼 때마다 미리 순서를 정해놓은 spindle을 맞춰서 꽂아보면서 계속 균형을 확인해본다. 또한 C arm의 경사가 심한 부분에 구멍을 내야할 때는 Sack back에서 했던 것처럼 먼저 C arm에 직각으로 약간 구멍을 내고 spindle 각도에 따라 드릴을 세워가면서 각을 맞춰야 비트가 미끄러지지 않는다.
그렇게 spindle을 다 꽂으면 다시 한번 앉아서 편안한 등받이 각도를 확인해본다. 그리고 좌우 손잡이 위치를 보면서 C arm이 기울지는 않았는지, 좌우 대칭은 맞는지 확인한다. 나는 한쪽 손잡이가 다른쪽에 비해 약간 돌아가서 arm post의 구멍을 살짝 조절해서 맞췄다. 그리고 C arm에 클램핑을 해서 전체적으로 C arm의 폭을 잡아본다. 좌우의 짧은 spindle을 위한 구멍을 낼 때는 이 클램프를 두고 작업을 했다.
이제 좌우 가장자리의 짧은 spindle을 조립할 차례이다. 먼저 C arm의 arm post를 기준으로 적당한 간격을 잡아 각도기로 짧은 spindle이 들어갈 위치를 잡는다. 이 때 다른 의자를 참고하면 좋겠지. 간격을 잡으면 C arm의 중심선을 긋고 교차점에 송곳으로 spindle 위치를 표시한다. 그리고 역시 seat 구멍을 먼저 내고, 그 구멍에 spindle을 꽂아서 C arm과의 각도를 보면서 C arm에 짧은 spindle을 위한 구멍을 뚫는다. 그런데 spindle을 대보니 해당 부분의 C arm 높이가 낮아서 기존 spindle이 C arm에 들어가질 않는다. 그래서 seat에서 C arm의 해당 위치의 높이를 재보니 8 3/4″의 높이였다. 원래 spindle에서 3/8″ 두께로 만드는 높이가 10 1/2″니까 그 차이만큼 더 깍아내야 했다. 그렇게 깍는 김에 짧은 spindle 간에 모양도 좀 더 다듬도 taper 모양도 좀 더 얇게 하는게 보기 좋을 것 같아서 다듬었다. 4개의 spindle을 다 다듬고 나서 만들어놓은 seat와 C arm의 구멍에 꽂아보고 전체적인 균형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
다음에 할 일은 seat의 tail에서 C arm과 연결되는 spindle을 위한 구멍을 만들어야 한다. 먼저 가운데 spindle에서 좌우로 2번째와 3번째 spindle의 중간에 기준 위치를 표시하고 중심선을 그어 위치를 특정한다. 그 다음 seat의 구멍 위치와 C arm에 잡은 위치를 연결하는 각도로 seat 구멍을 5/8″ 스페이드 비트로 만든다. 그리고 spindle을 꽂아서 각도를 보면서 C arm에 spindle 구멍을 역시 만든다. 그렇게 모든 구멍을 다 만들고 spindle을 꽂아보면 가조립은 완료. 다시 한번 전체적인 균형을 살펴본다. 그리고 문제가 없으면 불필요하게 튀어나온 spindle을 잘라내고 자른 spindle로는 wedge를 만드는데, 1자 드라이버 모양처럼 양쪽을 깍아내서 만든다.
이제 본딩과 wedge를 박을 차례다. 먼저 C arm을 arm post에서 빼고 모든 spindle을 seat에서 빼내서 C arm에 대충 꽂아둔다. 그리고 seat의 spindle 구멍에 본드를 짜넣고 붓으로 구멍의 안쪽 면에 골고루 바른다. 충분히 본드를 발라야 한다. 그리고 spindle들의 tapered tennon 부분에도 본드를 전체적으로 좀 발라주고 seat에 꽂으면서 조립을 한다. 그리고 빼놓았던 짧은 spindle들도 조립한다.
그렇게 본딩을 하고나면 이제 wedge를 박는다. 끌로 spindle의 각도에 맞춰서 틈을 만들고, wedge에 본드를 잔뜩 묻히고 spindle과 C arm의 구멍 사이 틈에 흘려넣으면서 spindle과 일직선이 되게 wedge를 박는다. 이전 Sack back에서 해봤던 작업이라 쉬울 것 같았지만 살짝 헤매기도 했다. 끌로 틈을 만드는데 역시 살짝 쪼개지기만 하면 wedge를 박는데, wedge 끝으로 쪼개놓은 틈에 맞추는게 어렵다. 어쨌든 여기까지 하면 이제 조립은 끝.
이제 남은 일은 본드가 마를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먼저 작업해놓은 Fan back의 본드가 어느 정도 말라서 먼저 깔끔하게 정리하고 페인팅까지 완료했다. 그 다음 Continuous Arm을 마무리하기 위한 정리를 했다. 삐져나온 본드를 긁어내고, spindle의 wedge들을 잘라내고 전체적으로 샌딩을 해서 페인트칠을 하기 전에 마무리를 한다. 그 다음 페인트칠은 역시 다른 의자들처럼 해주면 끝. 2차 페인트와 2번의 오일 코팅이 남아있지만 그건 빈센트가 마무리해주기로 했다.
막판에 시간이 모자라서 finish 전에 정리하는 걸 모건과 데이브가 다 같이 붙어서 후다닥 해버리기도 했고, Continuous Arm과 Fan back을 오가면서 작업하느라 좀 정신이 없기도 했다. 어쨌든 대부분 다 해본 것들이라 별 문제는 없었고, 오히려 이런저런 실수를 해서 대처 방법을 배우기도 한 것 같다.
색상을 정하는 것도 어렵긴 했는데, Fan back은 marigold yellow 50% white로 했고, Continuous Arm은 salam red 50% white로 했다. 나중에 오일까지 다 끝내면 색이 어떨지 궁금하다.
- 오늘 사용한 공구
– low angle spokeshave, drawknife
– 드릴, 스페이드 비트, 각도자, Laser Level
– 밀크페인트, 붓
– 끌, 샌딩기, 샌드페이퍼, scraper - 오늘 한 작업
– Fan back, Continuous Arm 상부 조립 및 본딩
– Continuous Arm 좌우 짧은 spindle 모양 다시 다듬기
– Finish를 위한 정리 및 1차 페인팅
– Sack back 1차 오일 코팅